본문 바로가기

사유하라/지식정보

등교길 질문하는 딸 안개랑 구름이랑 뭐가 달라

728x90

매일 아침 여전히 등교 전쟁이다.
네살때 부터였으니 14년 째 등교전쟁
바쁨이 없는 딸을 깨우고 빨리 빨리를 주문외듯 하면서 무동에서 팔용동까지 태우고 가는길
"우와 엄마 구름봐"
"저건 구름이 아니고 안개야"
"구름이랑 안개랑 뭐가 달라?"
"음~~~달라. 기압이 다르니까 음~~찾아봐 검색 그리고 찍어"


뭣도 모르는 엄마 뭣도 모르는 딸
"미선씨 나랑 놀자"를 자주 외치는 딸
어릴때부터 수도 없이 많은 질문을 했는데 뜬금 없는 질문에 제대로 답해 준 적이 없는것 같다.

집으로 오는 길 빨간신호 마다 안개사진을 급히 담았다.

저녁에 오면 내가 찾아서 공부 했다고 아는 체 하며 늦은 답변을 위해 위키 사전 찾았다.

안개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지표 가까이에 있는 작은 물방울이 뜬 현상이다.

구름과 안개의 구성요소 및 생성원리는 동일하다.
특히 지표면에 붙어 있는 구름을 안개라고 부르는 것이다-wiki-

약한 안개는 박무 즉 미스트(mist) , 가시거리 200m이하의 짙은 안개는 농무라 부른다.

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때 형성되는데 그럼 또 질문 이슬점은 뭐냐?

이슬점은 공기가 포화되어 수증기가 응결될때의 온도를 말하거나 불포화 상태의 공기가 냉각될때 포화되어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이다.
이슬점온도가 0도 이하일때는 서릿점이라 부른다.
-wiki-



그렇다면 이슬점 온도는 몇도라고 말할 수 있을까?

0도 이하는 서릿점이라 했으니 영상의 온도에서 이슬점온도는 시작된다.
대기압이 낮아지면 이슬점의 온도는 내려간다.
100m 를 오늘때마다 이슬점 온도는0.2도씩 내려간다고 한다. 따라서 기압과 이슬점의 온도는 밀접한 관계에 있고 구름과 안개의 차이는 기압의 차???

어~~맞췄어~^^
아침공부 끝 두뇌운동 끝

  

728x90
LIST